도마뱀을 건강하게 키우기 위해서는 적절한 사육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특히 온도, 습도, 조명은 도마뱀의 생존과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올바르게 설정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도마뱀을 위한 최적의 사육 환경 세팅법을 상세히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도마뱀 사육장의 기본 요소
1.1. 사육장 크기 선택
도마뱀의 크기와 종에 따라 사육장 크기가 달라져야 합니다.
- 표범도마뱀붙이 (레오파드게코; Leopard Gecko): 최소 60cm × 30cm × 30cm
- 턱수염도마뱀(비어디드래곤; Bearded Dragon): 최소 90cm × 45cm × 45cm
- 볏도마뱀붙이(크레스티드게코; Crested Gecko): 최소 45cm × 45cm × 60cm (수직형)
사육장은 종류에 따라 바닥형 또는 수직형을 선택해야 하며, 적절한 환기 시스템이 갖춰져 있어야 합니다.
1.2. 바닥재 선택
도마뱀의 건강을 위해 적절한 바닥재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레오파드게코, 비어디드래곤: 종이 타월, 타일, 고무 매트
- 크레스티드게코, 트로피컬 도마뱀: 코코피트, 이끼
모래나 작은 입자의 바닥재는 삼킬 위험이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도마뱀 사육장 온도 세팅
2.1. 온도 구역 설정
도마뱀은 체온을 외부 환경에 의존하기 때문에 따뜻한 구역(핫존)과 서늘한 구역(쿨존)을 나눠서 설정해야 합니다.
도마뱀 종류핫존 온도쿨존 온도
레오파드게코 | 30~32°C | 24~26°C |
비어디드래곤 | 38~42°C | 25~28°C |
크레스티드게코 | 26~28°C | 22~24°C |
2.2. 열원(Heating) 선택
- 핫존 유지: 열전구, 세라믹 히터, 적외선램프
- 밤 온도 유지: 세라믹 히터, 바닥 히팅 패드
- 온도 조절기 사용: 온도가 너무 올라가지 않도록 반드시 서모스탯(온도 조절기)을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3. 도마뱀을 위한 적절한 습도 관리
3.1. 종별 적정 습도
각 도마뱀 종에 맞는 적절한 습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도마뱀 종류 | 적정 습도 |
레오파드게코 | 30~40% |
비어디드래곤 | 30~40% |
크레스티드게코 | 50~70% |
3.2. 습도 유지 방법
- 낮은 습도 조절: 환기 강화, 제습기 사용, 바닥재 변경
- 높은 습도 유지: 분무기 사용, 이끼 배치, 물그릇 제공
습도가 너무 낮으면 탈피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너무 높으면 곰팡이나 호흡기 질환 위험이 증가합니다.

4. 도마뱀을 위한 적절한 조명 세팅
4.1. UVB 조명의 필요성
많은 도마뱀들은 칼슘 대사를 위해 UVB 조명이 필요합니다.
- UVB 필수 종: 비어디드래곤, 그린이구아나 등
- UVB 불필요 종: 레오파드게코, 크레스티드게코 (밤 활동형)
4.2. 조명 종류 및 선택
- UVB 조명: 12개월마다 교체
- 일반 조명: LED 또는 형광등 사용 가능
- 야행성 도마뱀의 경우: 빛을 내지 않는 세라믹 히터 사용
4.3. 조명 배치 방법
UVB 조명은 사육장 길이의 50~70% 범위를 덮도록 설치해야 하며, 도마뱀이 충분히 빛을 받을 수 있도록 배치해야 합니다.
5. 도마뱀 사육 환경 유지 및 점검
5.1. 일일 점검 리스트
✅ 온도 및 습도 확인 (온습도계 사용)
✅ 물그릇 청소 및 물 보충
✅ 조명 및 열원 정상 작동 여부 체크
✅ 사육장 내 배설물 청소
5.2. 주간 및 월간 점검
🔹 바닥재 교체 (필요시)
🔹 UVB 램프 수명 확인 및 교체 (6~12개월마다)
🔹 도마뱀 건강 체크 (체중, 피부 상태 등)
도마뱀을 건강하게 키우기 위해서는 온도, 습도, 조명을 적절히 세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환경이 올바르게 조성되지 않으면 도마뱀은 식욕 부진, 성장 지연, 질병 등에 걸릴 위험이 있습니다.
🔹 핵심 요약
- 온도: 핫존과 쿨존을 구분하고 적정 온도 유지
- 습도: 종별 적정 습도 맞추기 (특히 크레스티드게코는 높은 습도 필요)
- 조명: UVB 조명은 낮 활동형 도마뱀에게 필수
도마뱀 사육을 처음 시작하는 분들은 위 가이드를 참고하여 올바른 환경을 조성해 주세요!
'반려동물좋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마뱀이 꼬리를 흔든다? 게코 도마뱀의 행동과 의미 알아보기 (3) | 2025.03.21 |
---|